기사 메일전송
성북구, 에너지복지 LED조명 무상 교체…저소득층 전기료 부담 줄인다
  • 손종국 기자
  • 등록 2025-07-15 09:43:53

기사수정
  • 109개 노후조명 올해 교체…연간 5,000kWh 절감 기대
  • 2014년부터 누적 1만여 개 조명 교체, 탄소중립 기여
  • “전기료 낮추고 눈 건강 지키는 밝은 복지 실현”

서울 성북구가 저소득층 가구와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고효율 LED조명을 무상 교체하는 ‘2025년 에너지복지 LED조명 교체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성북구청 전경성북구(구청장 이승로)는 에너지 효율이 낮은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고효율 LED조명으로 교체해 전력 사용량을 줄이고, 관리비 부담을 덜어주는 LED조명 교체사업을 올해도 지속 추진한다고 밝혔다.


LED조명은 백열등 대비 최대 85%, 형광등 대비 약 50%의 전기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명도 5배 이상 길어 주기적인 교체 부담도 크게 줄어든다. 또한 플리커(빛 떨림) 현상이 적고 자연광에 가까운 밝은 조명이 제공돼 눈 건강과 생활 안전 측면에서도 효과가 높다.


성북구는 지난 2014년부터 이 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해왔으며, 지난해까지 누적 8,219개의 복지시설 조명과 2,035개 저소득층 가정의 조명을 교체해왔다. 구에 따르면 이로 인해 약 30MWh의 전력 사용량이 줄었고, 온실가스 30.8tCO2eq가 감축됐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약 3,400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과 맞먹는 수치다.


2025년에는 저소득층과 복지시설에 설치된 노후 조명 109개를 대상으로 무상 교체가 진행된다. 교체가 완료되면 연간 약 5,023kWh의 전력을 절감하고, 전기요금은 약 500만 원가량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에너지복지 사업은 단순한 조명 교체를 넘어, 취약계층의 생활 여건을 개선하고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실천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가구와 시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에너지복지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벼락소의 돌다리, 반복되는 훼손의 굴레를 끊으려면 경기 동북부 남양주를 가로지르는 왕숙천과 그 지류인 금곡천은 지역 주민들의 삶과 맞닿아 있는 중요한 공간이다. 특히 맑은 물소리와 푸른 녹음이 어우러진 벼락소는 주민들에게 평온과 위안을 선사하는 곳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곳에 놓인 돌다리는 단순히 하천을 건너는 통로를 넘어, 일대 주민들의 일상과 삶을 잇는 ..
  2. 남양주시, 도시 단절 해소할 ‘정약용 공원’ 조성 본격화 남양주시는 경의중앙선 철도 복개 공사를 통해 단절되었던 도심을 연결하고, 그 위에 (가칭)정약용 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프로젝트는 단순한 공원 조성 차원을 넘어, 물리적으로 나뉜 도시를 하나로 통합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철도 위 새로운 도시 공간, 복개 공사..
  3. 남양주시, 2025 정원문화박람회 '정원여행'으로 도심 속 힐링 선사 오는 9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남양주 다산중앙공원에서 '2025 남양주 정원문화박람회'가 개최된다. 이번 박람회는 정원여행을 주제로, 다산 정약용의 실학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돌아봄', '바라봄', '그려봄'의 3단계 여정을 통해 관람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정약용 실학정신을 담은 �...
  4. 550년 신비의 숲, 단 이틀간 문을 연다… '제20회 광릉숲축제' 개막 550여 년간 보존된 신비로운 숲길이 시민들에게 단 이틀간만 공개된다. 남양주시는 오는 9월 27일(토)부터 28일(일)까지 이틀간 진접읍 광릉숲 일원에서 제20회 광릉숲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높은 가치를 지닌 광릉숲은 평소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된다. 이 때문에 매년 단 한 번 열리는 광.
  5. 남양주 초거대 데이터센터, 기회와 딜레마 사이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초거대 데이터센터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남양주시 진접읍 일대에 추진 중인 2.2기가와트(GW) 규모의 'KDV(Korea Digital Valley)' 프로젝트는, 단일 사업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글로벌 자본의 이목을 끈다. 실제로 세계적인 투자사 블랙스톤은 이 프로젝트의 미래 가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